뉴스일반

뉴스일반 아동/청소년 노인 장애인 사회공헌 기획특집
칼럼 복지코너 복지만평 데스크에서 기고/투고 성명서/논평
포토
人터뷰 동정 구인
데이터뱅크
문화 독자마당 공지사항

[이경국 칼럼 13] 커뮤니티케어는 특별한 복지정책이 아니다

2019-07-30 입력 | 기사승인 : 2019-07-30


<이경국 사회복지실천과교육연구소장> 


요즘 대한민국의 복지화두는 '커뮤니티케어'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.


이름도 참 잘 짓는다. 커뮤니티케어는 'Community' 와 'Care'의 합성어 인데 직역하면 '공동체(지역사회) 보호'라 하겠다.


좋은 제목이다. 그런데 이 제목을 꼭 이렇게 영어 단어로 써야했을까? 엔 의문부호가 붙는다. 그리고 이 정책 자체가 그다지 특별하다고 볼 수도 없다. 이 복지정책은 이전의 여러 복지정책에서 단 1도 진일보하지 않았다고 보는 것이 필자의 의견이다.


그럼에도 '커뮤니티케어'는 필요하다. 왜냐하면 '커뮤니티케어' 자체가 사회복지조직실천의 기본정신이기 때문이다.


 "가수가 노래를 잘 부르는 것은 칭찬할 일이 아니다.",  "야구선수가 야구 잘하는 것은 자랑할 일이 아니다" 가수와 야구선수 입장에서 잘 한다는 것은 기본에 속한다.


우리나라의 사회안전망 정책이 부족해서 고독사, 자살, 가족해체, 생계형범죄 등이 만연하는 것이 아니다. 그 제도를 활용할 수 있는 대중의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라 필자는 본다.


우리가 역사책에서 배운 '계', '두레', '향약'을 모두가 알 것이다. 이것이 커뮤니티케어다.


알고 보면 우리나라의 커뮤니티케어의 역사는 아주 오래 되었다. 그리고 지금도 커뮤니티케어는 작동하고 있다.


1999년 IMF 시기에 전 국민이 금모으기를 통해 외환위기를 극복한 것이 그러했고 올해 초 속초 산불 때 전국 각지에서의 지원이 답지하는 것이 그러했다.


지금 일본제품 불매운동도 그러하다. 국가의 중대사 앞에서는 남녀노소 할 것 없이 공감대가 형성되고 이는 강력한 실행으로 이어지는 것이다.


이를 누가 가르쳐주었는가? 아니다. 그저 개개인의 정보와 고민의 나눔을 통한 필요성을 느껴서 스스로 참여하는 것이다.


이를 좀 더 쉽게 표현하자면 '마땅히 그렇게 해야 하는 것' 이라 할 수 있지 선택 또는 특별함의 의미를 가지지는 않는다.


커뮤니티케어는 인위적이거나 엄청난 예산자원을 특정분야에 투입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. 오히려 커뮤니티케어는 개개인이 사안의 필요성을 공감할 때 실현될 수 있다.


지금 진행되고 있는 모든 복지정책에 대해 지역주민 모두가 정확히 인식하고 활용하며 나눌 때 커뮤니티케어는 실현될 수 있다.


더하여 '커뮤니티케어'라는 대중이나 각 사회 계층들(아동, 청소년, 장애인, 노인)이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단어 조합보다는 "한 아이(대상)을 키우려면(보호하려면) 온 마을(동네, Community)이 필요하다" 라고 설명하는 것이 더 쉽다.


다음 칼럼부터 커뮤니티케어에 대해 더 적극적으로 이야기 해 보겠다.

최신뉴스 및 많이 본 뉴스